ISO 감도란 무엇일까?

ISO와 감도는 같은 뜻이다. 

ISO는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즉 국제표준화기구의 약자이다.


DSLR카메라를 처음 접하게 되면 가장 먼저 듣는 말들이 셔터스피드, 조리개 그리고 ISO란 단어일 것이다.




카메라의 ISO창을 보게되면 50 100 200 300 이런식으로 숫자가 점점 커지는 것을 볼수 있다.

 

이것은 밀집도의 차이라 생각하면 된다

ISO 숫자가 커질수록 입자의 크기가 커지고 밀집도는 줄어들며, 셔터스피드가 빨라지는(카메라 창의 숫자가 커짐) 이유이다.

 


ISO는 주간보다는 야간에 중요시된다.

주간에야 충분한 광량이 보장되기에 ISO를 낮게 잡아도 아무 문제가 없지만 야간 촬영시에는 조리개 만으로는 셔터스피드가 안나오는 경우가 많다.

그런 경우 ISO값을 높임으로 셔터스피드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면, ISO가 높을수록 좋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것이다. 숫자가 커지면 커질수록 노이즈가 많이 생기게 되기 때문에 꼭 높은것만이 좋은것은 아니다.

 

카메라의 브랜드 및 기종에 따라 ISO값 의한 노이즈의 표현이 다 다르다.

그러므로, 자신의 카메라에 대해 잘 알고 때와 장소에 맞는 설정을 맟출수 있다면 이미 초보자가 아니다!!




무엇이 달라지는가?


ISO의 핵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조리개(f값)을 고정으로 

저감도 (ISO숫자 작음) = 셔터 스피드 확보 어려음, 노이즈 적음

고감도 (ISO숫자 큼) = 셔터 스피드 확보 유리함, 노이즈 많음



위 표를 예로 설명하자면

ISO100 1sec로 찍은 사진을 ISO6400으로 찍으면 1/64로 찍을 수 있다는 말이다. 

조리개와 화각에 따라 다르겠지만 감도를 높힐수록 흔들리지 않은 사진을 얻을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물론 감도가 무조건 높은게 좋은 것은 아니다. 입자가 거칠어지고 노이즈가 많아진다.



그럼 ISO가 같으면 다 같나?


결론부터 말하면 아니다. 

빛에 대한 민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ISO설정만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센서의 크기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센서가 크면 낮은 감도에서도 빛을 잘 받아들일 수 있다. 이것은 마치 귀가 크면 소리를 잘 듣는 것과 마찬가지다.















1. 메모리 카드의 종류 이해하기


디지털(DSLR) 카메라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사용된다.

플래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라고하며,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메모리의 내용이 그대로 보존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작은 크기로 가공이 되기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장치의 저장 장치로 이용하기에 적당하며, 최근에는 노트북, MP3플레이어, 휴대폰 대부분의 전자기기에 플래시 메모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래시 메모리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다.(아래 표 참조)



이중에 디지털(DSLR) 카메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는 CF(컴팩트 플래시)카드, SD(Secure Digital)카드이다.



2. 메모리카드 사양 

 

메모리를 구입할 때 확인해야 할 중요한 것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용량이고, 다음으로는 속도이다.

 

메모리 용량의 단위는 보통 바이트(Byte) 단위로 표시하며,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화소수가 높아지면서 파일의 크기도 증가하여

8GB, 16GB, 32GB, 64GB(기가바이트) 이상의 고용량 메모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2000만 화소 이상의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한다면 최소한 16GB 이상(RAW촬영)의 고용량 메모리를 구입하는 것이 좋다.

 

메모리의 속도는

많은 양의 사진을 촬영하여 메모리로 저장한 후, 다시 PC로 옮기거나 복사하는 과정에서 시간을 줄이려면 역시 속도가 빠른 메모리 카드가 좋다.

이 메모리 속도의 표기는 메모리 제조 업체에 따라서 기준이 조금씩 다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위는 class, 배속 등이 있다.

 

10class라고 하면 초당 10MB를 전송할 수 있다는 뜻이고, 이를 배속으로 환산하면 66배속 정도가 된다.(아래 표 참조)


배속

클래스

전송속도

13 배속

2 Class

2.0 MB/s

26 배속

4 Class

4.0 MB/s

40 배속

6 Class

6.0 MB/s

66 배속

10 Class

10.0 MB/s

133 배속

20 Class

20.0 MB/s

400 배속

60 Class

60.0 MB/s

600 배속

90 Class

90.0 MB/s


고해상도의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고속의 연속 촬영을 해야 하는 경우, 높은 배속의 메모리가 있으면 더욱 빠른 속도로 저장이 되므로 유리하다.



3. 포맷이란? 


포맷이란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 내에 섹터(sector)와 트랙(track) 나누어 파티션 작업을 뜻하며, 마치 불도저로 땅을 다시 밀어버리고 집을 새로 짓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된다.

 

메모리 카드에 에러가 발생하여 저장된 사진이 모두 날아가버린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사진을 찍은 다음 메모리 카드에 있는 데이터를 다른 저장매체로 옮기거나 복사를 한 후 포맷해 새롭게 사용하는 것 좋다.


실수로 메모리 카드에 있는 사진을 삭제했거나 메모리를 포맷한 경우에는 메모리 복구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복구업체를 통해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4. 메모리카드 관리법 

 

메모리카드는 반영구적인 제품이긴 하지만, 사용방법에 따라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무리하게 힘을 줘서 카메라에서 분리하려다 카드가 훼손되는 경우와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 불량 섹터가 발생하여 정상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고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카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한 팁 4가지...

 

1) 데이터 전송중에는 카드를 분리하지 않는다.

메모리카드가 카메라와 PC등에서 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도중에 분리해서는 안된다.


2) 외부 자기장을 멀리한다.

메모리카드는 소형 반도체이므로 외부 자기장에 약하다. 때문에 TV, 스피커, 전자레인지, 자석 근처에 두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특히, 겨울철 정전기에 의해 데이터가 손상되는 경우도 있으니 가급적 카메라에서 메모리카드를 꺼내지 않고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외부기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안전하다.

 

3) 메모리카드 케이스에 보관한다.

최근 메모리카드는 작고 슬림하게 만들어지다 보니 외부 충격에 약하며, 슬롯(메모리카드와 카메라가 연결되는 부분) 밖으로 노출되는 경우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카드를 디지털 카메라와 분리하여 보관할 때는 전용 케이스에 넣어 보관하는 것이 안전하다.

 

4) 수시로 백업을 하자.

가장 좋은 메모리 관리법은 역시 메모리 내부의 데이터를 PC 또는 다른 저장매체 등에  백업해 두는 것이다.

메모리가 고장날 경우, 그안에 있던 사진을 복구할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진을 찍은 후에는 꼭 백업을 해두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

 




+ Recent posts